본문 바로가기
운동을해보자

스쿼트하는데 팔이 저려서 못하겠다?

by 하코치 2022. 10. 6.
반응형

하체운동 하는데 상체가 불편하다고??

 

스쿼트는 하체 운동의 꽃이라 불리우는 대표 하제 운동입니다.

3대운동에도 들어가고 건강의 척도로 평가 하기도 할만큼 중요한 동작입니다.

 

그리고 보디빌딩이나 헬스는 하는 분들이라면 분명 중량을 많이 올려서 운동을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스쿼트는 하체운동 이지만

하체뿐 아니라 전신을 사용하는 운동이라 코어는 물론

상체의 안정성도 많이 필요합니다.

무거운 중량을 상체가 받쳐주고 하체가 힘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종종 하체는 힘이 남아있는데

다른 신체부위가 불편하거나 저려서 더이상 고중량 스쿼트를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스쿼트를 할때 팔이 저리거나 머리가 아픈 원인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첫번째 원인은 바로

현대인들의 고질병 단축된 소흉근

 

 

스쿼트 자세를 위해서는 어깨의 유연성이 필요한데

가슴운동이나 평소 좋지 못한 자세로 있다보니

소흉근이 단축된 상태로 바벨을 짋어져서

소흉근이 강제 압박을 받으니 소흉근 밑으로 쇄골하 동백과

상완 신경총이 압박을 받아 팔이 저리거나 손 차가워지기도 합니다.

 

두번쨰 원인은

쇄골하근 입니다.

 

소흉근과 같은 이유로 

쇄골하동맥이나 상완신경총을 압박하여 팔저림이나 신경증상이 나타납니다.

 

 

 

세번째 원인으로는 승모근의 경직입니다.

 

우리 승모근은 아주 많은 일을 하고있습니다.

목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잡아 주기도 하고

팔과 어깨를 중력을 견디며 버텨주어야 하고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것을 잡아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부구리거나 움츠리는 동작을 많이 하게 되어 있습니다.

눈이 앞에 있기 때문에 손이 앞으로 잘 움직이기 때문에..

 

무슨 이유든 승모근이 하루종일 피로가 쌓여 필요한 동작

스쿼트 동작시 등을 살짝 뒤,위로 당겨주는 동작을 완벽히 해서

중량이 척추와 전신에 골고루 분산이 되어야 하는데

엄청난 중량을 승모가 다 받아버리는 상활이 발생하면

 

두통이 발생하거나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증상이 생길시

 

운동을 중지하고

 

일상생활중 앞으로 쏠리는 동작을 줄이고

앞,뒤,좌,우 전체적인 발란스를 맞추는 교정운동을 하고

 

서서히 맨몸 스쿼트 동작을 하여 근육이 잘 써지는지

 

확인을 하며

 

스쿼트 자세가 잘 되는지 확인후 중량을 점진적으로 올려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